눈 사시의 구분, 주요 증상, 교정 방법까지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검안 14년 차 눈 정보 쏙쏙입니다!
오늘은 눈의 정렬 이상 중 하나인 사시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사시의 개념과 다양한 종류, 구분 방법, 주요 증상, 교정 방법까지 하나하나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사시란?
정상적인 눈은 양쪽 눈이 같은 곳을 바라보며 초점을 맞춥니다. 하지만 사시는 두 눈이 같은 방향을 보지 못하고, 한쪽 눈이 다른 방향으로 돌아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양쪽 눈이 서로 다른 이미지를 받아들이고, 시각적으로 불편함을 유발하거나 시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사시의 구분
1. 방향에 따른 구분
- 내사시: 눈이 코 쪽으로 몰리는 형태
- 외사시: 눈이 바깥쪽으로 빠지는 형태
- 상사 시: 한쪽 눈이 위로 올라간 상태
- 하사시: 한쪽 눈이 아래로 내려간 상태
2. 발생 시기에 따른 구분
- 선천성 사시: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는 사시
- 후천성 사시: 성장 이후에 발생한 사시. 뇌신경 손상이나 외상, 안질환 등이 원인
3. 지속성 여부에 따른 구분
- 간헐성 사시: 피곤할 때만 사시 증상이 나타나고 평소에는 정상으로 돌아감
- 지속성 사시: 항상 눈이 한쪽으로 돌아가 있는 상태
4. 조절 유무에 따른 구분
- 조절성 내사시: 원시는 가까운 곳을 볼 때 많은 양의 조절이 필요. 눈이 안쪽으로 몰리는 유형
- 비조절성 내사시: 조절 여부와 무관하게 나타남
사시의 주요 증상
1. 눈의 정렬 불균형
가장 명확하게 보이는 특징입니다. 양쪽 눈이 같은 방향을 보지 않고, 한쪽 눈이 안쪽, 바깥쪽, 위쪽, 아래쪽으로 돌아가 있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찍을 때 자주 눈이 한쪽으로 치우쳐 나온다면 사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2. 복시(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현상)
사시로 인해 양안이 서로 다른 지점을 보게 되면, 뇌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를 받아들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하나의 사물을 두 개로 인식하는 복시현상이 발생합니다. 후천성 사시인 성인분들에게 흔히 발생하며, 아이들은 복시를 인식하지 못하고 무의식적으로 한쪽 눈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약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한쪽 눈을 감고 보기
복시를 피하거나 더 선명하게 보기 위해 눈을 찡그리거나 특정 각도에서만 고개를 돌려 사물을 보기도 합니다. 또한 한쪽 눈을 감고 복시 증상을 억제합니다.
4. 피로감, 두통, 집중력 저하
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시각적으로 지속적인 조절을 하게 되면서 눈의 피로감이 증가합니다. 특히 책이나 pc 작업과 같은 근거리를 장시간 주시하면 쉽게 피로하거나 두통이 동반된다면 사시나 조절 이상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사시의 진단 방법
1. Cover Test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입니다.
한쪽 눈을 가린 후 반대편 눈의 움직임 방향을 확인해 사시의 종류를 구분합니다.
2. Uncover Test
숨겨져 있는 사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검사입니다.
가린 눈을 열었을 때 해당 눈이 움직이는 확인 합니다. 숨겨진 사시가 있다면 열었을 때 눈의 위치가 제자리로 돌아오려고 움직입니다.
3. Alternate Cover Test
양쪽 눈을 번갈아가며 가렸을 때 눈의 위치가 정렬을 유지하는지 확인합니다. 잠재적 사시가 있는 경우 미세한 움직임이 보입니다.
사시의 치료, 교정 방법
1. 안경착용
조절성 내사시의 경우 원시교정용 안경 착용만으로도 교정에 도움이 됩니다.
2. 프리즘 처방
복시가 있을 경우 시야를 맞추기 위해 프리즘 도수를 처방해 안경을 착용합니다.
3. 사시 수술
안근(눈을 움직이는 근육)의 위치를 조정하여 눈의 정렬을 바로잡는 수술입니다.
사시는 단순히 눈이 돌아가는 문제로 보일 수 있지만, 시력 발달과 시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안과 질환입니다. 특히 어린이 시기에 사시를 방치하면 약시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사시가 의심된다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안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꼭 받아보시길 바랍니다^^